목록swift, Ios (22)
써니쿠키의 IOS 개발일기

안녕하세요 써니쿠키입니다🍪 오늘은 swift에서 뿐아니라 모든 프로그래밍에서 쓰이는 기술 중 하나인 Copy On Write(COW) 개념과 커스텀 Struct에 COW를 적용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COW하면 소밖에 안떠올랐지만 이제 아~ Copy On Write~ 해야합니다 👻 COW Copy On Write는 번역하면 쓰기 시 복사죠. 개념을 알고보면 아 말그대로 쓰기 시 복사구나! 하실겁니다 말 그대로 복사를해도 쓰기 시에 즉, 변경이 있을 때 복사하겠다는 겁니다. 무슨말이냐면,, 데이터를 '복사'할 때, 메모리에상에선 실제로 값이 복사되지 않고, 동일한 메모리를 주소를 참조하다가 데이터가 변경되면! 그제서야 메모리를 복사해서 변경할 값을 변경하는 기법입니다. 예를들어, Swift에서는 Array..

안녕하세요 써니쿠키입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 Uncle Bob의 클린아키텍쳐를 정리해보았는데요. >> [ 여기! ] 오늘은 이어서 이 클린아키텍쳐를 모바일 설계에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와, 예시 프로젝트로 많이 언급되는 깃헙을 참고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모바일에서의 클린아키텍처 엉클밥의 클린아키텍처의 컨셉을 보면 계층이 아래와 같이 4개의 계층(layer)이었죠. 모바일 설계에서 이 클린 아키텍쳐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3Layer형태로 사용합니다. 바로 아래 그림 처럼 말이죠! 이 3 Layer를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Domain Layer (도메인 계층) Entity와 UseCase 계층을 묶어 Domain계층이라 ..

안녕하세요 써니쿠키입니다 🍪 클린아키텍쳐 공부하고, 만들어 둔 프로젝트 하나를 리팩토링 해 볼 계획이라 엉클밥 아저씨가 만든용어 'Clean Architecture'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주관적 견해가 포함되어있으니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밥삼촌은 다양한 아키텍처들을 보면서 각각 세세한건 다르지만 공통된 목적은 관심사 분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는 통합 정리하셨습니다. 클린아키텍쳐!로 그럼 관심사의 분리부터 개념을 잡고 클린아키텍쳐로 넘어가겠습니다. 관심사의 분리? '관심사의 분리'는 말 그대로 프로그램 내부에서 관심있는 것들끼리 모아서 분리하는 겁니다. 여기서 말하는 '관심사'는 프로그램 내부에서 해결 또는 처리하려는 목표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

수료한 지 2주만에 써보는 후기🤓 나의 🐻야곰아카데미🐻일정 22.06.20 ~ 22.07.22 야곰 코드스타터 5기 - 수료 (5주과정) 22.08.14 ~ 23.02.10 야곰 커리어스타터 7기 - 수료 (6개월) 작년에는 제가 후기를 검색하고있었는데, 후기를 쓰는 입장이 되니 감회가 새롭네요ㅋㅋㅋㅋ 블로그에도 많은 내용이 담기길 바랬는데 TIL을 야곰아카데미 자체 제도에있는 곳에 쓰다보니까 블로그는 풍성해지지 못했네요 ㅠㅠ 앞으로 기억에 남기고싶은 내용들을 작성해봐야겠어요..! 그래도 야곰홈페이지에 TIL 꼬박꼬박써서 91% 달성했었음...(나 자신 칭찬해!)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아마 야곰아카데미 등록을 고민하시는 분들일거라 생각합니다 야곰아카데미에서 운영하는 코드스타터와 커리어스타터를 연달아 진행..